[현장연결] 중앙임상위 "코로나19 환자 격리해제 기준 완화 검토해야"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가 코로나9 재확산과 관련해 환자 입·퇴원 기준 변경 등을 권고하는 기자회견을 합니다.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방지환 / 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
치료제 얘기가 나오고 있지만 만약에 의료 시스템이 붕괴되면 훨씬 더 심각한 재앙적인 상황이 초래됩니다.
그래서 이제 감염병 대유행시에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서 효율적으로 병상 운영을 해서 의료시스템 붕괴를 막거나 최소한 지연시키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만들지 못했고 데이터나 지침을 선진국, 미국이나 일본, 영국, WHO 같은 남이 만들어준 데이터나 지침을 기반으로 해서 감염병 대응을 했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여러분도 느끼셨겠지만 가까운 메르스도 그렇고 신종플루 때도 그렇고 그리고 또 이번 신종 코로나 때도 마찬가지고 감염병은 국가별로 굉장히 다른 양상으로 퍼집니다.
또 한 가지는 국가별로 의료 시스템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외국의 데이터나 외국의 지침을 근거로 해서 감염병 대응을 하는 거는 사실 우리와 맞지 않고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저희 국립중앙의료원이 신종 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를 조직하고 운영한 것도 우리에게 필요한 우리 데이터를 만들어서 조금 더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감염병 대응을 하자는 데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사실 오늘 그런 면에서 굉장히 획기적인 날입니다.
우리가 대규모 감염병이 터졌을 때 우리 데이터를 만들어서 그걸 기반으로 해서 감염병 대응을 어떻게 어떻게 했으면 좋겠다 하는 제안을 하는 건 우리나라에서 처음 있는 일입니다.
그런데 이제 실제로 오늘 발표는 저희가 하지만 이게 현장에서 자료를 입력해 주시는 선생님들이 고생이 많았습니다.
아시다시피 지금 현장에서 환자를 보시고 계시는 선생님들 관계자들은 너무 너무 바쁘고 힘듭니다.
그런데 이 와중에 임상 자료를 입력해 주라고 하니까 처음에는 반발도 분명히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결국은 저희의 취지에 공감해 주시고 힘들지만 노력해 주신 치료기관 관계자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오늘 발표는 저희 원장님께서 효율적인 병상 운영의 중요성에 대해서 말씀을 드리고 그다음에 제가 임상자료를 근거로 해서 입·퇴원 기준에 대한 변경안을 제안을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 위원장이신 오명돈 교수님께서 팬데믹 상황에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어야 될지에 대해서 제안을 드리겠습니다.
그럼 원장님 발표 부탁드립니다.
[정기현 / 국립중앙의료원장]
안녕하십니까? 오랜만에 뵙겠습니다.
오늘 이렇게 굉장히 무더운 날씨인데요.
특히 일요일날 일을 만들어드린 것 같아서 송구스럽기도 하고 또 감사드립니다.
지금 방지환 선생님께서 말씀해 주신 것을 제가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19가 국내 일일 신규 확진자 수가 60명 대를 넘고 수도권, 대전을 중심으로 지역감염이 지속되고 있고 해외 유입 사례까지 증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 유행에 대한 국민적 불안, 사회적 피로감 높아가고 있고 방역과 의료 시스템의 피로도 또한 쌓여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인구가 밀집된 수도권 등 대도시에 폭발적 감염 우려가 높아지고 또한 의료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대책이 세워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의 입·퇴원 기준을 그대로 유지할 경우 대구·경북에서 경험한 병상 부족 사태를 피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미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임상위원회는 지난 3월 1일 임상증상 호전을 기준으로 퇴원 기준을 완화하자는 권고를 한 바 있습니다.
지금까지도 격리를 이유로 병원에서 퇴원하지 못하고 있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입원치료가 필수적인 고위험군에서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할 경우 심각한 의료시스템 붕괴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생각을 합니다.
이에 국립중앙의료원은 중앙임상위원회가 수집한 3,060명 환자의 임상데이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 확진 환자의 입·퇴원 기준 변경을 재권고하고 그에 따른 병상 관리를 효율화를 제안하고자 합니다.
그동안 확진자를 치료해온 55개 의료기관을 통해 수집한 3,060명의 환자 중 18세 이상의 성인이면서 4주간 임상 결과가 확인된 1,309명입니다.
4주간 임상 경과가 확인됐다는 것은 중간에 열흘 만 입원을 했다거나 일주일 했다 해서 빠진 환자들이 아닌 처음 증상부터 4주, 28일간 계속 완결성 있게 임상데이터가 모인 환자를 얘기를 합니다.
그게 임상기록을 분석한 결과 저위험도 환자의 경우 입원, 퇴원 기준의 변화만으로 입원일수를 50% 이상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메르스 때와는 달리 장기화하는 팬데믹 상황에서 국내 의료체계 붕괴를 막기 위해서 방역의 격리해제 기준을 만족하지 않더라도 의학적으로 퇴원이 가능하면 자가격리 또는 생활치료센터의 전원을 적극 고려하여야 하고 퇴원 이후 확진자 관리를 위해 방역체계 또한 정비돼야 할 것입니다.
확진자 발생 수에 따라 공공병원을 중심으로 현재 감염병 전담병원 지정과 해제를 반복하고 있는데 그렇게 효과적인 대안일 수 있을까 하는 데는 의문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코로나 환자뿐만 아니라 코로나19 이외에 응급환자나 건강 취약계층의 환자에 대한 의료 접근성을 떨어뜨려 이들의 피해를 가중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에 대한 지난 5개월여의 임상 경험을 미루어 보건데 방역당국의 노력과 국민의 협조를 기반으로 이런 집단감염을 최소화하고 또한 효율적 병상 관리 체계하에서 고위험군에 대한 의료 자원을 집중해 치료한다면 사망자 발생은 물론 사회 경제적 희생도 최소화할 수 있다 저희들은 생각을 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해외 사례에 의존한 대책들이 우리도 그동안 많이 있었습니다.
오늘 이 자리가 우리나라 자료의 근거를 제시하고 말씀드리는 자리가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